시사,교양,좋은정보

"재형저축 비켜라" … 고금리 적금 "살아있네~"

설은 김정원 2013. 4. 24. 08:52

???연 4.9%~6% 넘는 상품
저소득층은 7.5%까지

 

복지와 나눔이 강조 되어 은행들이 역마진을 감수하면서까지

고금리적금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. [중앙포토]

금리가 바닥을 기면서 금융권의 고금리 특판상품이 뚝 끊겼다.

수시로 나왔던 이벤트성 특판상품도 뜸 하다.

그러나 박근혜정부가 들어서면서 복지와 나눔이 강조 되어

 은행들이 역마진을 감수하면서까지 고금리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.

수익이 아닌 사회공헌활동의 성격이 짙어 소위 말하는 '따뜻한 금융'이다.

 

 연 7%초 중반의 금리를 주는 상품이 있다.

 대부분 소외계층의 목돈 마련을 위해 내놓은 상품들이다.

연소득 1200만원 이하의 근로자나 다문화가정 등을 대상으로 한

 '초고금리' 상품들이지만 잘 알려져 있지않아

정작 대상자들은 몰라서 가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.

고고씽

 

 고금리 상품 어떤것이 있나=

 

지난해 9월 출시한 '우체국 퍼즐적금'이

 최근까지 매달 신규 가입자가 10%씩 늘고 있다.

 

이 상품은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유적립식 상품으로

3년 만기로 적립할 경우 최고 연 4.9% 금리를 받을 수 있다.

 재형저축의 최고 금리가 연 4.6%인 점을 감안하면

 무려 0.3%포인트나 높다.

 

퍼즐적금은 6개월 만기일 경우 3.7%, 1년은 4.2%,

2년 이상은 4.7%가량의 이자를 받을 수 있고

 최대 만기인 3년을 다 채울 경우

우대이율까지 합치면 4.9%까지 가능하다.

 이율은 스마트폰에 '
우체국 스마트 퍼즐 적금'

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은 후

고객 스스로 목표금액을 설정해

1주일에 한 번꼴로 발송되는 '퍼즐 미션'을

수행하면 차등 지급하는 방식이다.

회당 2500원에서 2만원 사이다. 
샤방
 우리은행 '우리매직적금'도 인기다.

이 상품은 한 때 연 7%의 고금리를 제공했던

'우리매직7적금'의 후속 상품이다.

최고 금리는 연 6%대로 떨어졌지만

고금리 상품을 찾는 고객에게 여전히 인기다.

연 3.5%의 기본이율에 신용카드 추가 시

 사용액에 따라 최고 3.0%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준다.

 

 예를 들어 1년 만기 월 25만원 이하로 가입한 뒤

신용카드를 기존보다 300만원 이상 더 쓰면

3.0%의 추가금리가 적용되는 방식이다.

 

 이 상품은 이율이 일반 적금의 두 배 가까이 되는데다

 월 납입액도 적고 누구나 가입할 수 있어 인기를 끌고 있다.

다만 우리은행에서 발급받은 신용카드만 사용해야 하고

 결제계좌도 우리은행이어야 한다.
사랑해5
 NH농협은행의 하트 적금은 인체조직기증 희망서약,

 사회봉사 등의 공익 활동에 따라 우대 금리를 제공한다.

 하트 적금의 최고 금리는 연 6.21%에 달한다.

 

 NH농협은행은 전국 1200여 개 지점에 인체조직기증

희망서약서를 비치해 신청의 편의를 돕고 있다.

인체조직기증은

사후에 피부나 뼈·연골·인대·건·혈관·심장판막 등을

기증하는 것으로 한명의 기증자가

최대 100여명의 환자에게 혜택을 줄 수 있다.

특히 3월부터 희망서약자가 하트적금 가입시에는

0.5%p 우대금리를 제공한다.

신나2

 ◆저소득층 우대상품=

 

국민은행은 최고 연 7.5% 금리를 주는

'KB국민행복적금'을 출시했다.

 

기초생활 수급자, 소년소녀가장, 북한 이탈 주민,

결혼이주여성, 한부모 가족 지원 대상자,

근로장려금 수급자 등이 가입할 수 있으며

기본 금리 연 4.5%에 매월 일정한 금액을 불입하는

정액적립식은 3%p, 자유적립식은 2%p의 우대 금리가 제공된다.

 

정액적립식은 최고 연 7.5%, 자유적립식은 연 6.5%다.

 가입 6개월 후 주택 구입, 입원 등의 이유로

 목돈이 필요해 중도해지를 해도 기본 금리가 보장된다.

 가입 기간은 1년이며 한 달 최대 50만원까지 적립할 수 있다.
ㅎㅎㅎ
 신한은행의 '신한 새희망적금'의 최고 금리는 연 6%다.

기본금리가 연 4.5%다.

기초생활수급자와 근로장려금수급자,

 연 소득1200만원 이하의 근로자만 가입할 수 있다.

가입기간은 3년이다.

 우리은행은 저소득층 및

소외계층 목돈 마련을 위한 '우리희망드림적금'도

 기초생활 수급자, 소년소녀가장, 북한 이탈 주민과

 연소득 1200만원 이하 근로자가 대상이다.

 

 기본 금리 연 4%에 만기 시 3.5%p의 추가 금리가 제공된다.

 가입 기간은 1년이며 계좌당 월 30만원까지 넣을 수 있다.
응응
 기업은행의 '신서민섬김통장 적금'은

3년 만기시 금리가 최고 연 7.3%다.

기본 금리가 연 3.3%며, 총 가입금액의 500만원까지

연 4%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준다.

 

소년소녀가장, 기초생활수급자,

북한이탈주민, 다문화가정 등이 대상이다.

 

 또 이들이 입출금 통장에 가입하면

 50만원까지 연 2.5%의 금리를 제공한다.

 외환은행의 'KEB 1004나눔 적금'은

가입기간 3년일 경우 최고 금리가 연 6.5%다.

 

기본금리가 연 3.5%며,

만기를 유지할 경우 우대금리가 연 3%다.

1년제는 최고 연 5.5%, 2년제는 최고 연 6%의 금리를 준다.

월 3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다.

굿보이

출처...(중앙일보)펌,,